계룡건설은 전 세계적으로 직면한 환경 이슈를 공동의 과제로 설정하고, 환경에 대한 기업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 “직접 실천할 수 있는 ESG경영”을 지향합니다. 친환경적이고 에너지절감이 가능한 설계부터 환경캠페인·교육 등에 이르기까지, 다양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운영해 나갈 계획입니다.
녹색건축인증·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등을 고려하여,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설계를 지향합니다.
구분 | 중기 목표(정량적) 2034년 | 장기 목표(정성적) 2050년 | KPI |
---|---|---|---|
환경법규 준수 |
• 환경보전비 0.5% 이상 (환경투자비/도급액) |
• 환경법규 위반으로 인한 벌금 최소화 • 환경오염물질 외부 유출 등 환경사고 Zero • 환경시설개선 투자 확대 |
환경법규 위반 건수 유해물유출사고 건수 |
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 저감 |
• 온실가스 집약도(0.8 이하) • 에너지 집약도 (0.03 이하) • 용수 사용량 (80,000톤 이하) |
• 친환경 설계 및 고효율 건설장비 활용 확대 • 현장 및 일상생활 내 저탄소 활동 실천 • 친환경 전기 열풍기 사용 - 등유열풍기 지양 |
에너지 사용 감소율 온실가스 배출 감소율 |
폐기물 발생량 저감 및 자원순환 활동 강화 |
• 혼합폐기물 25%이하 배출 • 폐콘크리트 100% 재활용 |
• 폐기물 배출 최소화 • 건설폐기물 재활용률 제고 • 현장별 분리배출 |
폐기물 배출 감소율 건설폐기물 재활용률 |
녹색제품 구매 및 친환경 건축 시공 |
• 녹색제품 구매율 0.1% (재활용 자재비/전체 자재비) |
• 녹색제품 구매비율 확대 • 친환경 건축물 인증확대 |
녹색제품 구매 비율 친환경 건축물 인증 수 |
계룡건설은 신축공사 및 재개발 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, 에너지 사용량, 폐기물 발생량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있습니다.
온실가스 배출량 | 단위 | 2022 | 2023 | 2024 |
---|---|---|---|---|
직접배출(Scope 1) | tCO2e | 8,875 | 12,073 | 3,435 |
간접배출(Scope 2) | tCO2e | 8,192 | 8,719 | 13,701 |
합계 | tCO2e | 17,067 | 20,792 | 17,136 |
조직 내외부 에너지 소비 | 구분 | 단위 | 2022 | 2023 | 2024 |
---|---|---|---|---|---|
전력 소비량 | 전력 | TJ | 168.672 | 179.513 | 262.052 |
합계 | TJ | 168.672 | 179.513 | 262.052 | |
연료 소비량 | 갈탄/젤라탄 | TJ | 0.855 | 0.057 | 7.837 |
LNG(도시가스) | TJ | 6.872 | 7.453 | - | |
LPG(액화 석유가스) | TJ | 0.019 | 0.030 | 0.458 | |
프로판 | TJ | 0.024 | 0.031 | 0.147 | |
휘발유 | TJ | 5.822 | 0.272 | 4.331 | |
경유 | TJ | 92.586 | 0.765 | 20.931 | |
등유 | TJ | 22.539 | 103.637 | 18.228 | |
합계 | TJ | 128.717 | 112.245 | 51.932 | |
연간에너지 소비 비용 | 총액 | 십억원 | 8.5 | 14.0 | 18.4 |
연간에너지 사용량 | 합계 | TJ | 297.389 | 291.758 | 313.988 |
원단위 사용량 | TJ/십억원 | 34.987 | 20.840 | 17.065 |
온실가스 & 에너지 집약도 | 2022 | 2023 | 2024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
온실가스 | Scope 1 | tCO2e/억 원 | 0.43 | 0.62 | 0.15 |
Scope 2 | tCO2e/억 원 | 0.40 | 0.45 | 0.59 | |
합계 | 0.83 | 1.06 | 0.73 | ||
에너지 | 전력 | TJ/억 원 | 0.008 | 0.009 | 0.011 |
연료 | TJ/억 원 | 0.006 | 0.006 | 0.002 | |
합계 | 0.014 | 0.015 | 0.013 |
용수사용량 | 단위 | 2022 | 2023 | 2024 |
---|---|---|---|---|
상하수도 | ton | 58,088 | 96,998 | 165,558 |
지하수 | ton | 15,954 | 10,611 | 24,702 |
재활용수 | ton | - | - | - |
합계 | ton | 74,041 | 107,609 | 190,260 |
재활용수 비율 | ton/원 | - | - | - |
원단위 사용량 | ton/원 | 1,608 | 1,994 | 2,655 |
원자재 사용량 | 구분 | 단위 | 2022 | 2023 | 2024 |
---|---|---|---|---|---|
원자재 사용 현황 | 레미콘 | m3 | 617,020 | 1,298,953 | 611,403 |
시멘트 | ton | 17,370 | 54,474 | 89,202 | |
골재 | m3 | 187,252 | 226,464 | 285,051 | |
아스콘 | ton | 28,617 | 25,670 | 23,864 | |
모래 | m3 | 5,097 | 5,771 | 17,575 | |
철근 | ton | 68,198 | 143,095 | 153,061 | |
석고보드 | ㎡ | 726,169 | 1,040,225 | 2,518,223 | |
재활용 원재료 | 순환골재+혼합골재 | m3 | 45,983 | 121,324 | 209,454 |
재활용 원재료 투입 비율 | 골재 재활용 투입 | % | 24.6% | 53.6% | 73.5% |
폐기물 발생량(종류) | 구분 | 단위 | 2022 | 2023 | 2024 |
---|---|---|---|---|---|
종류에 따른 폐기물 발생 현황 |
폐콘크리트 | ton | 35,374 | 310,741 | 123,368 |
폐아스콘 | ton | 2,688 | 6,619 | 7,608 | |
폐목재 | ton | 3,523 | 5,126 | 5,528 | |
폐합성수지류 | ton | 1,766 | 705 | 1,938 | |
건설폐토석 | ton | 13,321 | 16,554 | 16,409 | |
건설오니 | ton | 997 | 616 | 756 | |
폐벽돌 | ton | - | - | - | |
폐섬유 | ton | - | - | - | |
폐보드류 | ton | 99 | 218 | 1,699 | |
그 밖의 폐기물 | ton | 110 | 87 | 1,637 | |
혼합건설폐기물 | ton | 17,748 | 16,965 | 28,098 | |
합계 | ton | 75,626 | 357,631 | 187,042 |
폐기물 발생량(처리방법) | 구분 | 단위 | 2022 | 2023 | 2024 |
---|---|---|---|---|---|
처리 방법에 따른 폐기물 발생량 (일반 폐기물) |
재사용 | ton | - | - | - |
재활용 | ton | 72,085 | 347,717 | 182,473 | |
폐기물 재활용율 | % | 95% | 99% | 98% | |
매립 | ton | 1,775 | 1,696 | 2,810 | |
소각 | ton | 1,766 | 705 | 1,759 | |
기타 | ton | - | - | - |
본사 환경교육 | 단위 | 2022 | 2023 | 2024 |
---|---|---|---|---|
교육시간 | 시간 | 4 | 4 | 20 |
교육참여 임직원 수 | 명 | 71 | 15 | 201 |
인당 교육시간 | 시간/명 | 0.1 | 0.3 | 0.1 |
현장 환경교육 | 단위 | 2022 | 2023 | 2024 |
교육훈련시간 | 시간 | 701 | 703 | 278 |
교육훈련 참여 임직원수 | 명 | 1,123 | 1,694 | 1,297 |
교육훈련 참여 협력사 인원수 | 명 | 7,278 | 15,682 | 16,500 |
교육훈련 참여 총인원 | 명 | 8,401 | 17,376 | 17,797 |
인당 교육시간 | 시간/명 | 0.08 | 0.04 | 0.02 |
현장명 | 사업지역 법종보호종 현황 | 생태환경 보호활동 | 금액 (천원) |
비고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조류 | 포유류 | 어류 | 양서·파충류 | 식물 | ||||
포승-평택 2공구 | 금개구리 | 서식지보호 | 96,000 | |||||
새만금 수변도시 | 삵 | 정밀조사 및 포획시 이주 | 25,000 | |||||
안성-성남4공구 | 맹꽁이 | 정밀조사 및 포획시 이주 | 275,263 | |||||
대전학하6BL | 맹꽁이 | 포획/이주 후 사후 모니터링 | 75,000 | |||||
새만금 간척3공구 | 황초롱이 검은머리물떼새 |
삵, 수달 | 금개구리 맹꽁이 | 서식지 보호 | 296,000 | |||
김포-파주2공구 | 삵, 수달 | 도룡뇽 외 5종 | 서식지 보호 | - | 회원사 | |||
의왕고천 공공주택지구 | 맹꽁이 | 서식지 보호 | - | 회원사 | ||||
합계 | 767,263 |
건설과정에 발생하는 비산먼지 등 각 현장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 물질을 현장 특성에 맞는 방진대책을 수립하여 현장의 비산먼지 발생 저감노력을 하고 있습니다. 매일 2회 이상 살수 차량을 이용하여 현장 내외 물을 뿌리고, 전 현장 진출입로에 세륜 장치 및 고압살수기를 설치하여 차량 진출입시 대기오염물질을 제거 후 반출하고 있으며, 다양한 공법을 활용하여 대기오염 발생 저감에 힘쓰고 있습니다.
건설현장 인근 주민들의 소음·진동 피해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파일 항타 및 알폼 해체 시 소음방지 판넬과 이동식 방음벽을 설치하여 법적 기준보다 강화된 기준으로 소음 저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.
구분 | 기준 |
---|---|
비산먼지 관리 |
• 비산먼지(PM2.5) 24시간평균치 25㎍/㎥ 이하 • 비산먼지(PM10) 24시간평균치 50㎍/㎥ 이하 |
소음·진동 관리 |
• 주거지역 60dB 이하 • 그 밖의 지역 65dB 이하 |
준공사업장 기준 | (단위:건수) | ||
---|---|---|---|
구분 | 2022 | 2023 | 2024 |
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| 15 | 14 | 0 |
G-SEED 인증 | 3 | 17 | 13 |
합계 | 18 | 21 | 13 |